<p></p><br /><br />아는 기자, 아자 시작합니다. 사회2부 황규락 기자와 우리 생활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짚어보겠습니다. <br> <br>Q1. 격리도 안 하고, 추적도 안 한다. 사실 깜짝 발표인데요, 앞으로 확진되면 어떻게 달라지는 겁니까.<br> <br>간단하게 말씀드리면, 코로나 방역 역량을 고위험군에 집중하고 나머지 방역은 스스로 알아서 해야 한다는 겁니다. <br><br>재택치료의 경우에는요.<br><br>50대 기저질환자나 60세 이상 어르신들 외에는 이제 보건소에서 전화하지 않습니다.<br><br>알아서 본인의 상태를 체크했다가 아프면 방역 당국에 스스로 연락하고, 비대면 진료를 받는 겁니다. <br> <br>재택치료할 때 주던 물품도 일곱가지에서 다섯가지로 줄었는데요.<br><br>앞으로 감기약이나 손소독제는 주지 않으니까요. 미리미리 준비해 두셔야 합니다. <br> <br>역학 조사도 조사관이 직접 조사하던 방식에서 확진자가 스스로 온라인에 입력하는 방식으로 바꼈습니다. <br><br>Q2. 함께 사는 가족이 걸려도 백신만 맞으면 이제 격리를 안 한다면서요? 밀접접촉의 의미가 사실상 사라지는 거네요?<br> <br>예를 들어서 한 집에 같이 사는 부부 중 남편이 확진됐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.<br><br>이렇게 되면 지금까지 아내는 무조건 자가격리 대상자였습니다. <br><br>그런데 모레부터는 격리 방식이 바뀝니다.<br> <br>아내가 접종 완료자일 경우, 자가 격리가 면제됩니다.<br> <br>격리 대상이 아니니까 출근도, 외출도 가능하고요. <br><br>다만, 일주일 동안 '수동 감시 대상'이 돼서 혹시나 증상이 생기는지, 스스로 확인하게 됩니다. <br><br>Q2-1. 만약에 자녀가 있다면요?<br> <br>이런 경우에는요.<br> <br>확진된 아버지는 일주일 격리되고, 격리 도중에 어머니가 추가로 확진되면 어머니만 격리 기간이 일주일 더 늘어납니다.<br> <br>다만 아이의 경우에는, 음성일 경우 아버지와 함께 격리 해제됩니다. <br><br>Q3. 백신 안 맞은 사람도 격리는 하는데 기간이 줄고, 격리 기간에 외출은 된다면서요? <br><br>아내가 미접종자라면 당초엔 총 14일을 격리했어야 합니다.<br><br>그런데 현장에서는 이 기간이 너무 길어서 비효율적이라는 비판이 나오곤 했습니다.<br> <br>그래서 이제는 동거인이 미접종자인 경우에는 자가격리 기간이 7일로 줄어들었습니다.<br> <br>또 격리 기간 중에 생필품을 사거나 약국에 가는 경우에는 외출도 가능해지는데요.<br><br>이전에는 보건소에 신고해야 했지만, 이것도 본인 판단 하에 자율적으로 다닐 수 있게 됐습니다. <br><br>Q4. 곧 새학기라 학부모들도 관심이 많은데, 오늘 교육부가 발표했어요. 정상 등교 한다는 거죠? <br><br>3월 신한기부턴 '재학생 확진비율 3%', 또는 '확진이나 격리 학생 비율 15%' 등의 기준을 토대로 학교가 등교수업 유형을 자율적으로 결정하게 됩니다.<br><br>이를 위해 학교 방역 체계도 개편했는데요. <br> <br>이제 교내 확진자가 발생하면, 방역 당국이 아닌 학교가 자체적으로 접촉자를 나누게 됩니다. 증상이 있다면 바로 PCR검사를 받을 수 있지만, 증상이 없는 밀접접촉자라면 일주일 동안 세 번의 신속항원검사에서 음성이 나와야만 등교할 수 있습니다. <br><br>Q5. 사실 추적을 안 하니, 내가 어디서 걸렸는지 알 수도 없고, 그러다보니 퍼져도 관리가 안 될 것 같은데요. 현장 목소리를 황 기자가 들어봤잖아요. 이렇게 해도 괜찮다나요?<br> <br>모두가 우려하는 지점이 바로 '자율에 맡긴다'는 겁니다.<br> <br>말씀하셨다시피 역학조사를 확진자 본인이 입력하다보니까 정보가 누락될 가능성도 크고요. <br> <br>확진자의 동거 가족이 생필품을 사러 외출할 때도 진짜로 생필품만 사고 오는 건지, 혹시나 다른 곳도 방문했다가 확산세를 키우는 게 아닌지 확인할 방법이 없습니다. <br> <br>또 무증상 확진자도 많기 때문에 자신의 상태를 제대로 인지하지 못해서 상태가 악화될 때까지 방치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는데요. <br> <br>방역 역량을 고위험군에 맞춘다는 큰 방향은 맞지만, 나머지 방역에 구멍이 생기면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, 아직 대책이 없다는 게 문제입니다. <br><br><br /><br /><br />황규락 기자 rocku@donga.com